【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10일 (목)】
해선정보
0
04.14 19:14
금일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전날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상호" 관세에 대해 90일간의 유예를 발표한 후 역사적인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인플레이션 둔화를 시사하는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투자자들은 일부 관세가 일시 유예되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훨씬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결국 경제활동이 둔화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백악관이 중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145%(상호 관세 125% + 펜타닐 관세 20%)로 상승했다고 발표한 후,
세계 최대 두 경제국 간의 무역 전쟁 심화가 세계 경제 성장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S&P 500 지수는 3.5% 하락했습니다.
견고한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은 랠리를 촉발하지는 못했지만,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채권 수요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에 대응해 유럽연합(EU)은 보복관세 도입을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EU 회원국들은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각회의에서 미국 관세가 “전환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정책에 대한 신뢰감을 내비쳤습니다.
또한, 특정 국가를 지목하지는 않은 채 관세 관련 첫 합의에 근접했다고 언급했으며, 90일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 시점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FBB 캐피털의 마이클 베일리는
"투자자들은 이제 정신을 차리고, 미·중 간 ‘무역 전쟁’이 개선되기 전에 오히려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머피 & 실베스트의 폴 놀테는
"투자자들은 여전히 최종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안감을 갖고 있다"
가베칼 리서치의 니콜라스 우딘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은 처음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한 전면전에서, 이제 중국만을 겨냥한 집중적인 무역전쟁으로 바뀌었다"
"중국 내 다수는 ‘트럼프의 후퇴’를 미국의 약점으로 보고, 중국이 갈등을 고조하기로 한 결정이 옳았다는 증거로 여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반적으로 냉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1% 오르며, 예상치(0.3%)를 밑돌았습니다.
3월 인플레이션이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지만,
호텔 숙박비나 항공료 등 일부 서비스 가격이 하락한 것은 소비자들의 재량적 지출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eToro의 브렛 켄웰은
"연준이 금리를 낮추려면 인플레이션이 내려와야 하기는 하지만, 경제활동이 급격히 위축되어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는 것은 결코 최선의 시나리오가 아니다"
라고 전하엿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3.46% → 5,268.05
다우 -2.50% → 39,593.66
나스닥100 -4.19% → 18,343.57
러셀2000 -4.27% → 1,831.3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14% → 3.862%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28% → 4.42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2.953 → 100.955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099.80 → 3,194.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71 → 60.23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738 → 3.50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CPI 상승률 ★★★ -0.1% ▼ (예상: 0.1% 이전: 0.2%)
21:30 – 미국 – 3월 근원 CPI 상승률 ★★★ 0.057% ▼ (예상: 0.3% 이전: 0.2%)
21: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23K = (예상: 223K 이전: 219K)
22:30 – 연준 – 로건 총재 (중립/투표권 X)
23:00 – 연준 – 보우먼 이사 (매파/투표권 O)
23:00 – 연준 – 슈미드 총재 (매파/투표권 O)
23:3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57 = (예상: 56.44 이전: 29)
00: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내각 회의’ 참석
01:00 – 미국 – 굴스비 총재 (비둘기/투표권 O)
01:00 – 미국 – 하커 총재 (중립/투표권 X)
0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무차관’ 취임식 참석
02:00 – 미국 – 30년물 국채 경매 ★★ 4.813% (WI: 4.839%)
05: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안 서명식’
--------------------------------------------------------------------------------------------------------------------------
【25년 04월 11일 (금)|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3월 PPI 상승률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연설
21:00 - 연준 - 카시카리 총재 (중립/투표권 X)
22:00 - 연준 - 콜린스 총재 (중립/투표권 O)
23:00 - 연준 - 무살렘 총재 (매파/투표권 O)
00:00 - 연준 - 윌리엄스 총재 (중립/투표권 O)
--------------------------------------------------------------------------------------------------------------------------
전날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상호" 관세에 대해 90일간의 유예를 발표한 후 역사적인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인플레이션 둔화를 시사하는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투자자들은 일부 관세가 일시 유예되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훨씬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결국 경제활동이 둔화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백악관이 중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145%(상호 관세 125% + 펜타닐 관세 20%)로 상승했다고 발표한 후,
세계 최대 두 경제국 간의 무역 전쟁 심화가 세계 경제 성장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S&P 500 지수는 3.5% 하락했습니다.
견고한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은 랠리를 촉발하지는 못했지만,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채권 수요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에 대응해 유럽연합(EU)은 보복관세 도입을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EU 회원국들은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각회의에서 미국 관세가 “전환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정책에 대한 신뢰감을 내비쳤습니다.
또한, 특정 국가를 지목하지는 않은 채 관세 관련 첫 합의에 근접했다고 언급했으며, 90일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 시점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FBB 캐피털의 마이클 베일리는
"투자자들은 이제 정신을 차리고, 미·중 간 ‘무역 전쟁’이 개선되기 전에 오히려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머피 & 실베스트의 폴 놀테는
"투자자들은 여전히 최종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안감을 갖고 있다"
가베칼 리서치의 니콜라스 우딘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은 처음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한 전면전에서, 이제 중국만을 겨냥한 집중적인 무역전쟁으로 바뀌었다"
"중국 내 다수는 ‘트럼프의 후퇴’를 미국의 약점으로 보고, 중국이 갈등을 고조하기로 한 결정이 옳았다는 증거로 여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반적으로 냉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1% 오르며, 예상치(0.3%)를 밑돌았습니다.
3월 인플레이션이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지만,
호텔 숙박비나 항공료 등 일부 서비스 가격이 하락한 것은 소비자들의 재량적 지출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eToro의 브렛 켄웰은
"연준이 금리를 낮추려면 인플레이션이 내려와야 하기는 하지만, 경제활동이 급격히 위축되어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는 것은 결코 최선의 시나리오가 아니다"
라고 전하엿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3.46% → 5,268.05
다우 -2.50% → 39,593.66
나스닥100 -4.19% → 18,343.57
러셀2000 -4.27% → 1,831.3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14% → 3.862%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28% → 4.42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2.953 → 100.955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099.80 → 3,194.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71 → 60.23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738 → 3.50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CPI 상승률 ★★★ -0.1% ▼ (예상: 0.1% 이전: 0.2%)
21:30 – 미국 – 3월 근원 CPI 상승률 ★★★ 0.057% ▼ (예상: 0.3% 이전: 0.2%)
21: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23K = (예상: 223K 이전: 219K)
22:30 – 연준 – 로건 총재 (중립/투표권 X)
23:00 – 연준 – 보우먼 이사 (매파/투표권 O)
23:00 – 연준 – 슈미드 총재 (매파/투표권 O)
23:3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57 = (예상: 56.44 이전: 29)
00: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내각 회의’ 참석
01:00 – 미국 – 굴스비 총재 (비둘기/투표권 O)
01:00 – 미국 – 하커 총재 (중립/투표권 X)
0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무차관’ 취임식 참석
02:00 – 미국 – 30년물 국채 경매 ★★ 4.813% (WI: 4.839%)
05: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안 서명식’
--------------------------------------------------------------------------------------------------------------------------
【25년 04월 11일 (금)|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3월 PPI 상승률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연설
21:00 - 연준 - 카시카리 총재 (중립/투표권 X)
22:00 - 연준 - 콜린스 총재 (중립/투표권 O)
23:00 - 연준 - 무살렘 총재 (매파/투표권 O)
00:00 - 연준 - 윌리엄스 총재 (중립/투표권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