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01일 (화)】
해선정보
0
04.02 10:08
금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였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표가 임박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진 가운데, 증시는 급등락을 거듭한 끝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블룸버그는 S&P 500 지수가 장 초반 1% 가까이 하락했으나, 제조업 지표 부진과 구인 감소로 인한 금리 인하 기대감에 0.4% 상승 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부진한 제조업 지표와 구인 감소는 금리 인하 기대를 증폭시켰으며, 30일 평균보다 약 20% 낮은 거래량은 지수의 변동성을 더욱 키웠습니다.
오펜하이머의 아리 왈드는
'통상 S&P 500이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4월을 시작할 경우, 1950년대 이후 평균 2% 이상의 상승률을 보여왔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월 제조업 지표가 위축 국면을 나타내고 물가가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2월 구인 건수까지 감소했다는 소식에 미 증시는 장중 한때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초반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기술주들이 반등하면서, 나스닥과 S&P 500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도입을 앞두고 투자자들 사이에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화요일(현지 시간)에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약 20%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수요일 공표 직후 즉시 발효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발표시간: 4월 3일 05:00 한국시간)
시장 최대 관심사는 미국이 모든 무역 상대국에 일괄적으로 상호 관세를 적용할지, 아니면 국가별로 다른 세율을 적용할지에 있습니다.
한편 장 마감 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세 번째 관세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는 일부 국가들에 대한 전면적인 관세로 20% 보편적 관세보다 낮은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카더라)
S&P 500 지수는 0.4% 상승했습니다.
테슬라는 1분기 차량 인도량 발표를 앞두고 3.6% 상승했습니다.
반면, 존슨앤존슨은 수천 건의 탈크 관련 소송을 파산 절차를 통해 해결하려던 계획이 법원에서 무산된 후 급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4bp 하락한 4.17%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에 새로운 관세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며,
미국이 과거 글로벌 무역 시스템을 주도적으로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은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HSBC의 맥스 켓너는
'이른바 ‘해방의 날’이 관세 불확실성의 종식을 의미한다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4월 2일이라는 마감 시점이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더 크다'
바클레이스의 안슐 굽타는
'관세가 예상보다 덜 공격적으로 시행된다면, 높아진 이벤트 리스크가 오히려 안도 랠리(relief rally)를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무역 리스크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한편, 월스트리트의 대표적인 강세론자인 골드만삭스, 소시에테제네랄, 야데니 리서치는 올해 S&P 500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 지수가 월요일 종가보다 높은 수준에서 연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즉,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경제 성장과 소비자 심리에 미칠 위험을 지적하며 경기 둔화를 경고하지만, 전면적 붕괴 가능성은 낮게 보는 셈입니다.
실제로 블룸버그가 추적하는 주요 전략가들은 연말까지 S&P 500 지수가 여전히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38% → 5,633.07
다우 -0.03% → 41,989.96
나스닥100 +0.82% → 19,436.42
러셀2000 +0.02% → 2,012.24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87% → 3.875%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11% → 4.16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4.150 → 104.17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130.9 → 3,148.5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1.36 → 71.1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4.126 → 3.952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4.8% (이전: 5.6%)
22:00 - 연준 - 바킨 총재 (중립/투표권 X)
22:45 - 미국 -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50.2 ▲ (예상: 49.9 이전: 49.8)
23:00 – 미국 – 2월 건설지출 ★★ 0.7% ▲ (예상: 0.3% 이전: -0.2%)
23:00 – 미국 – 2월 JOLTS 구인인원 ★★★ 7568K ▼ (예상: 7655K 이전: 7740K)
23:00 - 미국 - 3월 ISM 제조업 PMI ★★★ 49.0 ▼ (예상: 49.5 이전: 50.3)
01:00 – 미국 – 백악관 ‘언론 브리핑’
0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부대통령과 오찬’
04: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
【25년 04월 02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1:15 - 미국 - 3월 ADP 비농업 취업자수 ★★★
21:30 - 미국 - 2월 내구재수주 ★★
22:00 - 미국 - 테슬라 1분기 인도량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연설
05: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05:30 - 연준 - 쿠글러 이사 (중립/투표권 O)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표가 임박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진 가운데, 증시는 급등락을 거듭한 끝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블룸버그는 S&P 500 지수가 장 초반 1% 가까이 하락했으나, 제조업 지표 부진과 구인 감소로 인한 금리 인하 기대감에 0.4% 상승 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부진한 제조업 지표와 구인 감소는 금리 인하 기대를 증폭시켰으며, 30일 평균보다 약 20% 낮은 거래량은 지수의 변동성을 더욱 키웠습니다.
오펜하이머의 아리 왈드는
'통상 S&P 500이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4월을 시작할 경우, 1950년대 이후 평균 2% 이상의 상승률을 보여왔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월 제조업 지표가 위축 국면을 나타내고 물가가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2월 구인 건수까지 감소했다는 소식에 미 증시는 장중 한때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초반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기술주들이 반등하면서, 나스닥과 S&P 500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도입을 앞두고 투자자들 사이에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화요일(현지 시간)에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약 20%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수요일 공표 직후 즉시 발효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발표시간: 4월 3일 05:00 한국시간)
시장 최대 관심사는 미국이 모든 무역 상대국에 일괄적으로 상호 관세를 적용할지, 아니면 국가별로 다른 세율을 적용할지에 있습니다.
한편 장 마감 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세 번째 관세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는 일부 국가들에 대한 전면적인 관세로 20% 보편적 관세보다 낮은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카더라)
S&P 500 지수는 0.4% 상승했습니다.
테슬라는 1분기 차량 인도량 발표를 앞두고 3.6% 상승했습니다.
반면, 존슨앤존슨은 수천 건의 탈크 관련 소송을 파산 절차를 통해 해결하려던 계획이 법원에서 무산된 후 급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4bp 하락한 4.17%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에 새로운 관세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며,
미국이 과거 글로벌 무역 시스템을 주도적으로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은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HSBC의 맥스 켓너는
'이른바 ‘해방의 날’이 관세 불확실성의 종식을 의미한다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4월 2일이라는 마감 시점이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더 크다'
바클레이스의 안슐 굽타는
'관세가 예상보다 덜 공격적으로 시행된다면, 높아진 이벤트 리스크가 오히려 안도 랠리(relief rally)를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무역 리스크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한편, 월스트리트의 대표적인 강세론자인 골드만삭스, 소시에테제네랄, 야데니 리서치는 올해 S&P 500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 지수가 월요일 종가보다 높은 수준에서 연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즉,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경제 성장과 소비자 심리에 미칠 위험을 지적하며 경기 둔화를 경고하지만, 전면적 붕괴 가능성은 낮게 보는 셈입니다.
실제로 블룸버그가 추적하는 주요 전략가들은 연말까지 S&P 500 지수가 여전히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38% → 5,633.07
다우 -0.03% → 41,989.96
나스닥100 +0.82% → 19,436.42
러셀2000 +0.02% → 2,012.24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87% → 3.875%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11% → 4.16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4.150 → 104.17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130.9 → 3,148.5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1.36 → 71.1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4.126 → 3.952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4.8% (이전: 5.6%)
22:00 - 연준 - 바킨 총재 (중립/투표권 X)
22:45 - 미국 -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50.2 ▲ (예상: 49.9 이전: 49.8)
23:00 – 미국 – 2월 건설지출 ★★ 0.7% ▲ (예상: 0.3% 이전: -0.2%)
23:00 – 미국 – 2월 JOLTS 구인인원 ★★★ 7568K ▼ (예상: 7655K 이전: 7740K)
23:00 - 미국 - 3월 ISM 제조업 PMI ★★★ 49.0 ▼ (예상: 49.5 이전: 50.3)
01:00 – 미국 – 백악관 ‘언론 브리핑’
0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부대통령과 오찬’
04: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
【25년 04월 02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1:15 - 미국 - 3월 ADP 비농업 취업자수 ★★★
21:30 - 미국 - 2월 내구재수주 ★★
22:00 - 미국 - 테슬라 1분기 인도량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연설
05: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05:30 - 연준 - 쿠글러 이사 (중립/투표권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