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5월 06일 (화】
ceo
0
05.07 07:51
금일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장 종료 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제이미슨 그리어가 이번 주 스위스에서 중국 정부와 만나 양국 간 무역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라는 보도에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장 중에는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되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들이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지 못하면서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장중 낙폭을 일부 만회하기도 했으나 결국 약 0.8%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총리와 만난 뒤 주가는 요동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중 "우리가 반드시 협정을 체결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일요일에 협정이 이번 주 초에 체결될 수 있다고 말했던 것과 모순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관세를 피하려는 파트너국들에 대해 관세율과 양보 사항을 직접 정하겠다며 기존의 상호 협상 방식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국채 가격이 상승했고(금리 하락), 42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 경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에도 강세가 이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화가 시장을 다시 흔들자, 투자자들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협상이 잘 진행 중”이라는 발언을 곧바로 무시했습니다.
S&P500 지수는 0.8% 하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4bp 하락한 4.31%를 기록했습니다.
22V 리서치의 케빈 브록스는
"투자자들은 FOMC와 실제 무역 협정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에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개별 종목으로는 테슬라는 4월 영국·독일 신차 판매가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1.8%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수입 관세를 시사하자 일라이 릴리, 머크 등 제약주도 하락했습니다.
또한 FDA가 COVID-19 백신·마스크 의무화를 강하게 비판해 온 비나이 프라사드를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 책임자로 임명했다는 보도 후 백신 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폴 튜더 존스는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50% 낮출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렇게 하더라도 주식 시장은 새로운 저점을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에 매달려 있고, 연준은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입장이다”라며 “이는 주식 시장에 좋은 조합이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주식 시장의 역사적인 상승세 이후, 골드만삭스 전략가들은 “현재 밸류에이션으로는 추가 상승 여력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과 개인 투자자들의 수요는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지난주 금요일 기준으로 21주 연속 주식을 순매수하며 2008년 이후 최장기 매수 기록을 세웠습니다.
또한, 4월 발표된 자사주 매입 규모는 2,338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1984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월별 총액입니다.
엔비디아 CEO는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은 매우 큰 시장이며, 2~3년 내에 500억 달러 규모의 AI 시장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큰 손실이 될 것이다.'
'정부 정책과 국가의 최선의 이익에 맞춰 계속 적응해 나갈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종료 후 인도 측은 파키스탄 및 파키스탄 점령지 내 테러 시설 9곳을 타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파키스탄 국방장관은 '인도가 민간 지역을 공격했다' 며 인도 라팔 전투기 1대를 격추했다고 전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7% → 5,606.91
다우 -0.95% → 40,829.00
나스닥100 -0.88% → 19,791.35
러셀2000 -1.05% → 1,983.1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41% → 3.785%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48% → 4.298%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758 → 99.22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43.50 → 3,441.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57.23 → 59.0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568 → 3.48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무역수지 ★★ -140.5b ▼ (예상: -137.2b 이전: -122.7b)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6.9% (이전: 6.1%)
23:00 – 미국 – 베센트 재무장관 ‘청문회’
00: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 총리 환영 인사’
00:4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 총리와 양자 회담’
01:00 - 미국 - EIA 단기 에너지전망보고서 ★
02:00 - 미국 - 10년물 국채 경매 ★★ 4.342% (WI: 4.354%)
03:30 – 미국 – 엔비디아·서비스나우 CEO 인터뷰
04: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FIFA TF팀 미팅’
06: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보좌관, 선임 고문 취임식’
--------------------------------------------------------------------------------------------------------------------------
【25년 05월 07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03:00 - 미국 - 기준금리 결정 ★★★
03:30 - 미국 - FOMC 기자회견 ★★★
04:00 - 미국 - 3월 소비자신용 ★
--------------------------------------------------------------------------------------------------------------------------
하지만 장 종료 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제이미슨 그리어가 이번 주 스위스에서 중국 정부와 만나 양국 간 무역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라는 보도에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장 중에는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되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들이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지 못하면서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장중 낙폭을 일부 만회하기도 했으나 결국 약 0.8%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총리와 만난 뒤 주가는 요동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중 "우리가 반드시 협정을 체결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일요일에 협정이 이번 주 초에 체결될 수 있다고 말했던 것과 모순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관세를 피하려는 파트너국들에 대해 관세율과 양보 사항을 직접 정하겠다며 기존의 상호 협상 방식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국채 가격이 상승했고(금리 하락), 42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 경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에도 강세가 이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화가 시장을 다시 흔들자, 투자자들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협상이 잘 진행 중”이라는 발언을 곧바로 무시했습니다.
S&P500 지수는 0.8% 하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4bp 하락한 4.31%를 기록했습니다.
22V 리서치의 케빈 브록스는
"투자자들은 FOMC와 실제 무역 협정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에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개별 종목으로는 테슬라는 4월 영국·독일 신차 판매가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1.8%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수입 관세를 시사하자 일라이 릴리, 머크 등 제약주도 하락했습니다.
또한 FDA가 COVID-19 백신·마스크 의무화를 강하게 비판해 온 비나이 프라사드를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 책임자로 임명했다는 보도 후 백신 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폴 튜더 존스는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50% 낮출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렇게 하더라도 주식 시장은 새로운 저점을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에 매달려 있고, 연준은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입장이다”라며 “이는 주식 시장에 좋은 조합이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주식 시장의 역사적인 상승세 이후, 골드만삭스 전략가들은 “현재 밸류에이션으로는 추가 상승 여력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과 개인 투자자들의 수요는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지난주 금요일 기준으로 21주 연속 주식을 순매수하며 2008년 이후 최장기 매수 기록을 세웠습니다.
또한, 4월 발표된 자사주 매입 규모는 2,338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1984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월별 총액입니다.
엔비디아 CEO는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은 매우 큰 시장이며, 2~3년 내에 500억 달러 규모의 AI 시장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큰 손실이 될 것이다.'
'정부 정책과 국가의 최선의 이익에 맞춰 계속 적응해 나갈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종료 후 인도 측은 파키스탄 및 파키스탄 점령지 내 테러 시설 9곳을 타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파키스탄 국방장관은 '인도가 민간 지역을 공격했다' 며 인도 라팔 전투기 1대를 격추했다고 전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7% → 5,606.91
다우 -0.95% → 40,829.00
나스닥100 -0.88% → 19,791.35
러셀2000 -1.05% → 1,983.1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41% → 3.785%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48% → 4.298%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758 → 99.22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43.50 → 3,441.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57.23 → 59.0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568 → 3.48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무역수지 ★★ -140.5b ▼ (예상: -137.2b 이전: -122.7b)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6.9% (이전: 6.1%)
23:00 – 미국 – 베센트 재무장관 ‘청문회’
00: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 총리 환영 인사’
00:4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 총리와 양자 회담’
01:00 - 미국 - EIA 단기 에너지전망보고서 ★
02:00 - 미국 - 10년물 국채 경매 ★★ 4.342% (WI: 4.354%)
03:30 – 미국 – 엔비디아·서비스나우 CEO 인터뷰
04: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FIFA TF팀 미팅’
06: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보좌관, 선임 고문 취임식’
--------------------------------------------------------------------------------------------------------------------------
【25년 05월 07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03:00 - 미국 - 기준금리 결정 ★★★
03:30 - 미국 - FOMC 기자회견 ★★★
04:00 - 미국 - 3월 소비자신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