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24일 (목)】
ceo
0
04.25 08:47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이 미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는 가운데, 연준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증시를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 '서비스나우'의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힘입어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증시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2%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중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한국과 무역 협상에 대해 "이르면 다음 주"에 "잠정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장 마감 후 알파벳은(구글) 견조한 실적 발표로 급등했으며, 인텔은 부진한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공격적인 관세가 고용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클리블랜드 연은에 베스 해맥 총재 역시 경제 방향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다면 이르면 6월에도 금리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UBS 글로벌의 울리케 호프만-버카르디는
"연준이 통화 완화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해 왔지만, 정리해고 증가 등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면 기꺼이 그리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JP모건의 마일스 브래드쇼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보다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더 크다”
“연준이 정책을 장기간 동결해 온 만큼 향후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해질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실적 시즌이 진행되면서 경기 전망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드러나고 있습니다.
아메리칸항공은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했고, 사우스웨스트 항공 CEO는 항공업계가 이미 ‘경기 침체’에 들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펩시와 프록터앤갬블도 전망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으로 인한 비용 증가 부담이 소비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면서 기업들은 올해 전망을 세우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가벨리 펀드의 존 벨턴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들은 대체로 솔직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있으며, 관세의 모든 충격을 반영한 가이던스를 제시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관세와 세금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 기업들이 더욱 신중해지고 있다는 또 다른 신호로, 3월 미국 내 공장에 발주된 기업용 설비 주문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실업 수당 신청 건수는 소폭 증가하여 안정적인 노동 시장을 시사했고, 3월 기존 주택 판매는 2022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경기 둔화 위험으로 인해 기업 수익 전망이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늘고 있습니다.
S&P 500 기업의 실적 전망 수정 폭(상향 조정 대비 하향 조정 비율)은 하방 극단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월가 대표 강세론자 중 한 명인 도이치방크의 방킴 차다는 관세가 미국 기업에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연말 S&P 500 목표치를 6,150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2.03% → 5,484.77
다우 +1.23% → 40,093.40
나스닥100 +2.79% → 19,214.40
러셀2000 +2.00% → 1,957.5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69% → 3.79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85% → 4.31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899 → 99.261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23.00 → 3,361.3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28 → 62.7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010 → 2.93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내구재수주 ★★ 9.2% ▲ (예상: 2.0% 이전: 1.0%)
21:30 – 미국 – 3월 시카고연은 전미경제활동지수 ★ -0.03 ▼ (예상: 0.12 이전: 0.18)
21: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22K = (예상: 222K 이전: 215K)
21:30 – 연준 – 헤맥 총재 (중립/투표권 X)
23:00 - 미국 - 3월 기존주택판매 ★★★ 4.02m ▼ (예상: 4.13m 이전: 4.26m)
23:3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 88 ▲ (예상: 68.25 이전: 16)
00:00 – 미국 – 4월 캔자스시티연은 제조업지수 ★(예상: -6 이전: -2)
01: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노르웨이 총리와 회동’
02:00 - 미국 - 7년물 국채 경매 ★★ 4.123% (WI: 4.121%)
02:0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양자회담’ (*노르웨이)
05: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06:00 - 연준 - 카시카리 총재 (중립/투표권 X
--------------------------------------------------------------------------------------------------------------------------
【25년 04월 25일 (금)|주요 일정】
경제지표
08:30 - 일본 - 4월 도쿄 CPI상승률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이 미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는 가운데, 연준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증시를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 '서비스나우'의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힘입어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증시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2%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중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한국과 무역 협상에 대해 "이르면 다음 주"에 "잠정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장 마감 후 알파벳은(구글) 견조한 실적 발표로 급등했으며, 인텔은 부진한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공격적인 관세가 고용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클리블랜드 연은에 베스 해맥 총재 역시 경제 방향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다면 이르면 6월에도 금리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UBS 글로벌의 울리케 호프만-버카르디는
"연준이 통화 완화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해 왔지만, 정리해고 증가 등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면 기꺼이 그리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JP모건의 마일스 브래드쇼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보다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더 크다”
“연준이 정책을 장기간 동결해 온 만큼 향후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해질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실적 시즌이 진행되면서 경기 전망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드러나고 있습니다.
아메리칸항공은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했고, 사우스웨스트 항공 CEO는 항공업계가 이미 ‘경기 침체’에 들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펩시와 프록터앤갬블도 전망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으로 인한 비용 증가 부담이 소비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면서 기업들은 올해 전망을 세우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가벨리 펀드의 존 벨턴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들은 대체로 솔직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있으며, 관세의 모든 충격을 반영한 가이던스를 제시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관세와 세금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 기업들이 더욱 신중해지고 있다는 또 다른 신호로, 3월 미국 내 공장에 발주된 기업용 설비 주문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실업 수당 신청 건수는 소폭 증가하여 안정적인 노동 시장을 시사했고, 3월 기존 주택 판매는 2022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경기 둔화 위험으로 인해 기업 수익 전망이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늘고 있습니다.
S&P 500 기업의 실적 전망 수정 폭(상향 조정 대비 하향 조정 비율)은 하방 극단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월가 대표 강세론자 중 한 명인 도이치방크의 방킴 차다는 관세가 미국 기업에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연말 S&P 500 목표치를 6,150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2.03% → 5,484.77
다우 +1.23% → 40,093.40
나스닥100 +2.79% → 19,214.40
러셀2000 +2.00% → 1,957.59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69% → 3.79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85% → 4.31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899 → 99.261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23.00 → 3,361.3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28 → 62.7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010 → 2.93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내구재수주 ★★ 9.2% ▲ (예상: 2.0% 이전: 1.0%)
21:30 – 미국 – 3월 시카고연은 전미경제활동지수 ★ -0.03 ▼ (예상: 0.12 이전: 0.18)
21: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22K = (예상: 222K 이전: 215K)
21:30 – 연준 – 헤맥 총재 (중립/투표권 X)
23:00 - 미국 - 3월 기존주택판매 ★★★ 4.02m ▼ (예상: 4.13m 이전: 4.26m)
23:3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 88 ▲ (예상: 68.25 이전: 16)
00:00 – 미국 – 4월 캔자스시티연은 제조업지수 ★(예상: -6 이전: -2)
01: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노르웨이 총리와 회동’
02:00 - 미국 - 7년물 국채 경매 ★★ 4.123% (WI: 4.121%)
02:0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양자회담’ (*노르웨이)
05: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06:00 - 연준 - 카시카리 총재 (중립/투표권 X
--------------------------------------------------------------------------------------------------------------------------
【25년 04월 25일 (금)|주요 일정】
경제지표
08:30 - 일본 - 4월 도쿄 CPI상승률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