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29일 (화)】
ceo
0
05.01 09:15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증시는 투자자들이 기업 실적 발표, 경제 지표, 그리고 무역 정책 관련 변화들을 소화하는 가운데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견조한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완화 계획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외국산 완성차 관세가 다른 관세(철강, 펜타닐 등)와 중복 부과되지 않도록 하고, 미국 내 완성차 생산에 사용되는 해외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줄여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화요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중 무역 협상의 책임은 중국에 있으며, 무역 분쟁으로 인한 공급망 혼란은 예상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도와의 무역 합의에도 "매우 근접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는지 여부는 확인해주지 않았습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 역시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무역 "합의가 완료됐고 해당 국가 총리와 의회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하며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경제 지표는 무역 갈등의 여파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3월 미국 상품무역 적자는 관세 시행 전 재고 확보 영향으로 사상 최대치로 확대되었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부진한 경제 지표를 뒤로하고 S&P 500 지수를 2022년 3월 이후 가장 긴 6거래일 연속 상승세로 이끌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며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도 일부 강세론자들이 주식 시장의 반등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과거 미국 증시의 빠른 회복 역사를 염두에 두고 초기 상승 랠리를 놓칠까 우려하는 심리와, 연준(Fed)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해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NatAlliance Securities의 앤드루 브레너는
"여전히 경기 침체와 주가 추가 하락을 점치는 시각이 있지만, 주식시장에는 '트럼프 풋', 실물경제에는 '연준 풋'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다고 본다"
“최악의 국면은 이미 지났다고 생각한다”
아메리프라이즈의 앤서니 사글림베네는
"향후 한두 달 동안 관세 영향을 경제 지표만으로 가늠하기는 어렵다"
뉴욕라이프인베스트먼트의 로렌 굿윈은
"정책 리스크의 최악은 이미 반영됐지만, 비용·수익 불확실성이 여전해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마감 후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예상치를 밑도는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슈마컴은 일부 고객의 구매 연기(매출 4분기로 이연), 구형 제품 재고충당금 증가를 부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58% → 5,560.83
다우 +0.75% → 40,527.62
나스닥100 +0.61% → 19,544.95
러셀2000 +0.56% → 1,976.52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689% → 3.6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06% → 4.172%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8.862 → 99.17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54.80 → 3,327.6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1.92 → 60.1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182 → 3.3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도매재고 ★ 0.5% ▼ (예상: 0.6% 이전: 0.3%)
21:30 – 미국 – 베센트 재무장관 “백악관 브리핑”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6.1% (이전: 7.4%)
22:00 - 미국 - 2월 주택가격지수 ★★ 0.1% ▼ (예상: 0.3% 이전: 0.2%)
23:00 - 미국 - 3월 JOLTS 구인인원 ★★★ 7192K ▼ (예상: 7500K 이전: 7568K)
23:00 – 미국 – 4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86.0 ▼ (예상: 88.0 이전: 92.9)
23:30 - 미국 - 4월 댈러스연은 서비스업활동지수 ★ -19.4 (이전: -11.3)
03:00 – 미국 – 루트닉 상무장관 ‘CNBC 인터뷰’
05:1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미시간 주 방위군’ 연설
06:1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미시간 주 연설’
--------------------------------------------------------------------------------------------------------------------------
【25년 04월 30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10:30 - 중국 - 4월 제조업 PMI ★★★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1:15 - 미국 - 4월 ADP 비농업 취업자수 ★★★
21:30 - 미국 - 1분기 실질GDP성장률 ★★★
21:30 - 미국 - 1분기 근원PCE가격지수 ★★
22:45 - 미국 - 4월 시카고연은 PMI ★★
23:00 - 미국 - 3월 PCE가격지수 ★★★
23:00 - 미국 - 3월 잠정주택판매 ★★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
증시는 투자자들이 기업 실적 발표, 경제 지표, 그리고 무역 정책 관련 변화들을 소화하는 가운데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견조한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완화 계획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외국산 완성차 관세가 다른 관세(철강, 펜타닐 등)와 중복 부과되지 않도록 하고, 미국 내 완성차 생산에 사용되는 해외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줄여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화요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중 무역 협상의 책임은 중국에 있으며, 무역 분쟁으로 인한 공급망 혼란은 예상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도와의 무역 합의에도 "매우 근접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는지 여부는 확인해주지 않았습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 역시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무역 "합의가 완료됐고 해당 국가 총리와 의회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하며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경제 지표는 무역 갈등의 여파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3월 미국 상품무역 적자는 관세 시행 전 재고 확보 영향으로 사상 최대치로 확대되었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부진한 경제 지표를 뒤로하고 S&P 500 지수를 2022년 3월 이후 가장 긴 6거래일 연속 상승세로 이끌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며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도 일부 강세론자들이 주식 시장의 반등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과거 미국 증시의 빠른 회복 역사를 염두에 두고 초기 상승 랠리를 놓칠까 우려하는 심리와, 연준(Fed)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해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NatAlliance Securities의 앤드루 브레너는
"여전히 경기 침체와 주가 추가 하락을 점치는 시각이 있지만, 주식시장에는 '트럼프 풋', 실물경제에는 '연준 풋'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다고 본다"
“최악의 국면은 이미 지났다고 생각한다”
아메리프라이즈의 앤서니 사글림베네는
"향후 한두 달 동안 관세 영향을 경제 지표만으로 가늠하기는 어렵다"
뉴욕라이프인베스트먼트의 로렌 굿윈은
"정책 리스크의 최악은 이미 반영됐지만, 비용·수익 불확실성이 여전해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마감 후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예상치를 밑도는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슈마컴은 일부 고객의 구매 연기(매출 4분기로 이연), 구형 제품 재고충당금 증가를 부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58% → 5,560.83
다우 +0.75% → 40,527.62
나스닥100 +0.61% → 19,544.95
러셀2000 +0.56% → 1,976.52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689% → 3.6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06% → 4.172%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8.862 → 99.17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54.80 → 3,327.6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1.92 → 60.1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182 → 3.3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3월 도매재고 ★ 0.5% ▼ (예상: 0.6% 이전: 0.3%)
21:30 – 미국 – 베센트 재무장관 “백악관 브리핑”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6.1% (이전: 7.4%)
22:00 - 미국 - 2월 주택가격지수 ★★ 0.1% ▼ (예상: 0.3% 이전: 0.2%)
23:00 - 미국 - 3월 JOLTS 구인인원 ★★★ 7192K ▼ (예상: 7500K 이전: 7568K)
23:00 – 미국 – 4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86.0 ▼ (예상: 88.0 이전: 92.9)
23:30 - 미국 - 4월 댈러스연은 서비스업활동지수 ★ -19.4 (이전: -11.3)
03:00 – 미국 – 루트닉 상무장관 ‘CNBC 인터뷰’
05:1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미시간 주 방위군’ 연설
06:15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미시간 주 연설’
--------------------------------------------------------------------------------------------------------------------------
【25년 04월 30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10:30 - 중국 - 4월 제조업 PMI ★★★
20: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21:15 - 미국 - 4월 ADP 비농업 취업자수 ★★★
21:30 - 미국 - 1분기 실질GDP성장률 ★★★
21:30 - 미국 - 1분기 근원PCE가격지수 ★★
22:45 - 미국 - 4월 시카고연은 PMI ★★
23:00 - 미국 - 3월 PCE가격지수 ★★★
23:00 - 미국 - 3월 잠정주택판매 ★★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