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25일 (금)】
ceo
0
04.28 22:10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엇갈린 신호에도 불구하고,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하면서 증시는 4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S&P 500 지수는 5,500을 돌파하며 1월 이후 가장 긴 상승 행진을 기록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9.8% 급등했고, 구글도 견조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추가 연기 가능성이 낮다고 시사하고 중국에 대한 관세를 "실질적인 대가" 없이는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주가는 잠시 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에어포스 원 기자 인터뷰)
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충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 지수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199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양대 경제 대국 간 무역 전쟁과 관련하여 엇갈린 신호가 나오는 가운데,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고 있는 125% 관세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카더라)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인하를 원하는 미국 교역 파트너들과의 무역 합의를 3~4주 안에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중국과의 협상 상황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내놓았고, 중국은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팬뮤어 리버럼의 요아힘 클레멘트는
“우리는 지금 ‘관세 지옥’에 갇혀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내각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발언에 지속적으로 휘둘리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1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면서 S&P 500 내 179곳이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그중 7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1분기 순이익 증가율을 전년 대비 9.7%로 예상(4월 1일 전망치는 8.0%)하지만, 투자자들은 실적보다는 경제 불확실성 탓에 낮아진 가이던스에 더 주목하고 있습니다.
UBS 글로벌의 데이비드 레프코비츠는
"관세로 인한 경제 활동 둔화와 비용 상승이 기업 이익 성장에 제약을 줄 것이다"
"그러나 기업과 소비자들이 관세에 적응하고, 연준의 금리 인하와 정책 불확실성 해소가 도움이 되면 내년에는 경제가 반등할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4% → 5,525.21
다우 +0.05% → 40,113.50
나스닥100 +1.14% → 19,432.56
러셀2000 +0.00% → 1,957.62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793% → 3.7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15% → 4.25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261 → 99.567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61.30 → 3,330.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77 → 63.19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2.939 → 2.97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이탈리아로 이동)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6.5% ▼ (예상: 6.8% 이전: 6.7%)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52.2 ▲ (예상: 50.5 이전: 50.8)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87 (이전: 585)
05:5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이탈리아 로마 도착)
--------------------------------------------------------------------------------------------------------------------------
【25년 04월 28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3:30 - 미국 - 4월 댈러스연은 제조업PMI ★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엇갈린 신호에도 불구하고,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하면서 증시는 4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S&P 500 지수는 5,500을 돌파하며 1월 이후 가장 긴 상승 행진을 기록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9.8% 급등했고, 구글도 견조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추가 연기 가능성이 낮다고 시사하고 중국에 대한 관세를 "실질적인 대가" 없이는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주가는 잠시 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에어포스 원 기자 인터뷰)
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충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 지수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199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양대 경제 대국 간 무역 전쟁과 관련하여 엇갈린 신호가 나오는 가운데,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고 있는 125% 관세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카더라)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인하를 원하는 미국 교역 파트너들과의 무역 합의를 3~4주 안에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중국과의 협상 상황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내놓았고, 중국은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팬뮤어 리버럼의 요아힘 클레멘트는
“우리는 지금 ‘관세 지옥’에 갇혀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내각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발언에 지속적으로 휘둘리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1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면서 S&P 500 내 179곳이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그중 7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1분기 순이익 증가율을 전년 대비 9.7%로 예상(4월 1일 전망치는 8.0%)하지만, 투자자들은 실적보다는 경제 불확실성 탓에 낮아진 가이던스에 더 주목하고 있습니다.
UBS 글로벌의 데이비드 레프코비츠는
"관세로 인한 경제 활동 둔화와 비용 상승이 기업 이익 성장에 제약을 줄 것이다"
"그러나 기업과 소비자들이 관세에 적응하고, 연준의 금리 인하와 정책 불확실성 해소가 도움이 되면 내년에는 경제가 반등할 것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4% → 5,525.21
다우 +0.05% → 40,113.50
나스닥100 +1.14% → 19,432.56
러셀2000 +0.00% → 1,957.62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793% → 3.7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15% → 4.25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261 → 99.567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61.30 → 3,330.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2.77 → 63.19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2.939 → 2.97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1: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이탈리아로 이동)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6.5% ▼ (예상: 6.8% 이전: 6.7%)
23:00 - 미국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52.2 ▲ (예상: 50.5 이전: 50.8)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87 (이전: 585)
05:5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이탈리아 로마 도착)
--------------------------------------------------------------------------------------------------------------------------
【25년 04월 28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3:30 - 미국 - 4월 댈러스연은 제조업PMI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