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4년 11월 26일 (화) 】
해선정보
0
2024.11.27 22:02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계획에 대한 우려를 딛고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소식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된 것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9월 중순 이후 최장 상승 행진을 이어갔고, 올해 들어 52번째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업종은 관세 위험에 덜 민감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반면, 제너럴 모터스와 포드 등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멕시코와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타격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멕시코와 캐나다의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러한 조치가 미국 국경을 통한 불법 이민과 마약 밀수를 단속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협상 전략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NatAlliance의 앤드류 브레너는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가능성보다는 협상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22V 리서치의 데니스 드뷔셔르는
'트럼프가 관세를 무역 정책이나 경제 문제가 아닌 마약과 이민 문제와 연관 지은 것은 투자자들에게 이번 발표가 정책 도구가 아니라 협상 전략이라는 신호를 보낸 것이다'
슬레이트스톤 웰스의 케니 폴카리는
'트럼프의 발언은 단순히 선거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일 뿐이다'
해리스 파이낸셜의 제이미 콕스는
'투자자들은 이미 관세 부과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거나, 실제로 발효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6% 상승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bp 상승한 4.30%를 기록했습니다.
증시는 지난주 대선 이후 상승 흐름을 재개했으며, S&P 500 지수는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목요일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거래량은 다소 줄어든 모습입니다.
한편, 투자자들은 FOMC 의사록에도 주목했습니다.
연준은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점진적인 인하를 예상했습니다.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데이터가 예상대로 나오고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로 하락하며 경제가 최대 고용 수준을 유지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올해 25% 이상 급등하며 2년 연속 2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지난 100년 동안 단 4번밖에 발생하지 않은 드문 현상입니다.
도이치방크의 반킴 차다는 내년 말까지 S&P 500 지수가 7,000포인트에 도달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사비타 수브라마니안 역시 2025년 S&P 500 지수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벤치마크 지수 외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망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 투자를 유지하되, 2024년 S&P 500 지수 상승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던 '매그니피센트 세븐' 대형 기술주에 대한 비중을 조절하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암젠(AMG), 비만치료제 임상 결과 발표 (경쟁사 보다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함)
일라이릴리(LLY), 바이든 행정부, '비만치료제' 보험 보장 규정 제안
딕스스포팅굿즈(DKS), 실적발표 (연간 전망 상향 조정)
베스트바이(BBY), 실적발표 (연간 가이던스 하향 조정)
리비안(RIVN), 66억 달러 규모의 연방 정부 대출 조건부 승인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30% → 6,021.63
다우 +0.28% → 44,860.31
나스닥100 +0.57% → 20,922.90
러셀2000 -0.73% → 2,424.31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273% → 4.248%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75% → 4.29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6.888 → 106.89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626.4 → 2,633.8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9.08 → 68.9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326 → 3.33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55 - 미국 - 존스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4.9% (이전: 5.1%)
23:00 - 미국 - 9월 주택가격지수 ★★ 0.7% ▲ (예상: 0.3% 이전: 0.3%)
00:00 – 미국 – 10월 신규주택판매 ★★★ 610K ▼ (예상: 725K 이전: 738K)
00:00 - 미국 - 11월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 ★ -14 ▼ (예상: -11 이전: -14)
00:00 – 미국 – 1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 111.7 ▼ (예상: 111.8 이전: 108.7→109.6)
03:00 – 미국 – 5년물 국채 입찰 ★★ 4.197 (Pre-Sale WI: 4.199%); 응찰률: 2.43 (이전: 2.390)
04:00 – 미국 - FOMC 의사록 ★★★
04:30 – 미국 – 바이든 대통령 연설
--------------------------------------------------------------------------------------------------------------------------
【24년 11월 27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1: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건수 ★
22:30 - 미국 - 3분기 실질GDP성장률 ★★★
22:30 - 미국 - 3분기 근원PCE가격지수 ★★
22:30 - 미국 - 10월 내구재수주 ★★
22:30 - 미국 - 10월 도매 재고 ★
22: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3:45 - 미국 - 11월 시카고연은 제조업 PMI ★★
00:00 - 미국 - 10월 PCE가격지수 ★★★
00:00 - 미국 - 10월 잠정주택판매지수 ★★
00: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02:0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
03:30 - 미국 - 7년물 국채 입찰 ★★
연설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계획에 대한 우려를 딛고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소식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된 것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9월 중순 이후 최장 상승 행진을 이어갔고, 올해 들어 52번째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업종은 관세 위험에 덜 민감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반면, 제너럴 모터스와 포드 등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멕시코와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타격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멕시코와 캐나다의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러한 조치가 미국 국경을 통한 불법 이민과 마약 밀수를 단속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협상 전략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NatAlliance의 앤드류 브레너는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가능성보다는 협상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22V 리서치의 데니스 드뷔셔르는
'트럼프가 관세를 무역 정책이나 경제 문제가 아닌 마약과 이민 문제와 연관 지은 것은 투자자들에게 이번 발표가 정책 도구가 아니라 협상 전략이라는 신호를 보낸 것이다'
슬레이트스톤 웰스의 케니 폴카리는
'트럼프의 발언은 단순히 선거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일 뿐이다'
해리스 파이낸셜의 제이미 콕스는
'투자자들은 이미 관세 부과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거나, 실제로 발효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6% 상승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bp 상승한 4.30%를 기록했습니다.
증시는 지난주 대선 이후 상승 흐름을 재개했으며, S&P 500 지수는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목요일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거래량은 다소 줄어든 모습입니다.
한편, 투자자들은 FOMC 의사록에도 주목했습니다.
연준은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점진적인 인하를 예상했습니다.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데이터가 예상대로 나오고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로 하락하며 경제가 최대 고용 수준을 유지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올해 25% 이상 급등하며 2년 연속 2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지난 100년 동안 단 4번밖에 발생하지 않은 드문 현상입니다.
도이치방크의 반킴 차다는 내년 말까지 S&P 500 지수가 7,000포인트에 도달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사비타 수브라마니안 역시 2025년 S&P 500 지수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벤치마크 지수 외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망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 투자를 유지하되, 2024년 S&P 500 지수 상승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던 '매그니피센트 세븐' 대형 기술주에 대한 비중을 조절하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암젠(AMG), 비만치료제 임상 결과 발표 (경쟁사 보다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함)
일라이릴리(LLY), 바이든 행정부, '비만치료제' 보험 보장 규정 제안
딕스스포팅굿즈(DKS), 실적발표 (연간 전망 상향 조정)
베스트바이(BBY), 실적발표 (연간 가이던스 하향 조정)
리비안(RIVN), 66억 달러 규모의 연방 정부 대출 조건부 승인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30% → 6,021.63
다우 +0.28% → 44,860.31
나스닥100 +0.57% → 20,922.90
러셀2000 -0.73% → 2,424.31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273% → 4.248%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75% → 4.29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6.888 → 106.89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626.4 → 2,633.8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9.08 → 68.9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326 → 3.33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55 - 미국 - 존스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4.9% (이전: 5.1%)
23:00 - 미국 - 9월 주택가격지수 ★★ 0.7% ▲ (예상: 0.3% 이전: 0.3%)
00:00 – 미국 – 10월 신규주택판매 ★★★ 610K ▼ (예상: 725K 이전: 738K)
00:00 - 미국 - 11월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 ★ -14 ▼ (예상: -11 이전: -14)
00:00 – 미국 – 1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 111.7 ▼ (예상: 111.8 이전: 108.7→109.6)
03:00 – 미국 – 5년물 국채 입찰 ★★ 4.197 (Pre-Sale WI: 4.199%); 응찰률: 2.43 (이전: 2.390)
04:00 – 미국 - FOMC 의사록 ★★★
04:30 – 미국 – 바이든 대통령 연설
--------------------------------------------------------------------------------------------------------------------------
【24년 11월 27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1: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건수 ★
22:30 - 미국 - 3분기 실질GDP성장률 ★★★
22:30 - 미국 - 3분기 근원PCE가격지수 ★★
22:30 - 미국 - 10월 내구재수주 ★★
22:30 - 미국 - 10월 도매 재고 ★
22:30 -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3:45 - 미국 - 11월 시카고연은 제조업 PMI ★★
00:00 - 미국 - 10월 PCE가격지수 ★★★
00:00 - 미국 - 10월 잠정주택판매지수 ★★
00: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02:00 -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
03:30 - 미국 - 7년물 국채 입찰 ★★
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