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2월 28일 (금)】
해선정보
0
03.04 09:43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2월 마지막 거래일, 시장은 지정학적 불안과 백악관 설전으로 인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결국 상승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 초반, 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인 인플레이션 지표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회담이 격렬한 논쟁으로 번지면서 미-우크라이나 핵심 광물 협정 체결 계획이 취소되었고, 이에 증시는 즉각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러나 장 마감 직전, 증시는 급격한 반등을 보였습니다.
CNBC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지수 리밸런싱 및 기술적 매수세 유입을 지목했습니다.
UBS 글로벌의 데이비드 레프코위츠는
'강세장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올해는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밀러 타박의 맷 말리는
'백악관에서 너무나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어 투자자들이 단기 전망에 대해 큰 확신을 갖기 어렵다'
EP 웰스 어드바이저의 아담 필립스는
'불안정한 시장이다. 시장의 움직임을 보면 불안감이 역력하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1.6% 상승했으며, 10년물 국채 금리는 5bp 하락한 4.21%를 기록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멕시코가 중국에 대해 미국이 부과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제안했으며, 캐나다도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며칠 내에 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잠재적 경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멕시코 정부가 내놓은 매우 흥미로운 제안 중 하나는 중국에 대해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 수준을 맞추는 방안이다'
라고 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이 과열되지 않았다는 데이터를 확인한 후 안도감을 느꼈습니다.
투자자들은 소비 지출 감소라는 우려스러운 지표보다 연준의 정책 완화 가능성에 더 주목했습니다.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하며 2021년 초 이후 최저 연간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소비 지출은 0.5% 감소해, 거의 4년 만에 가장 큰 월간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브레이브 이글 웰스 매니지먼트의 로버트 루지에렐로는
'추가 금리 인하는 여전히 몇 달이 더 걸릴 가능성이 높지만, 이번 보고서는 2025년에 한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게 해준다'
트레이드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은
'개인 소비 지출의 감소는 이전에 발표된 소매판매 둔화와 일치하며, 경제가 2025년을 약한 기반에서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애틀랜타 연은의 GDPNow는 금요일 발표된 지표 이후 경기 위축 가능성을 예고했습니다.
연율 환산 기준으로 GDP가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2.3% 성장으로 전망됐던 것에 비해 상당히 하향 조정된 수치입니다.
다만 아직 분기 초반이고, GDPNow 추정치는 더 많은 월별 데이터가 나오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5월에 스카이프를 팀즈로 대체 예정
로켓랩(RKLB), 실적발표 (전망 하회)
아마존(AMZN), 초저가 쇼핑앱 'Haul'을 전 세계로 확장 계획중 (카더라)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1.59% → 5,954.50
다우 +1.39% → 43,840.91
나스닥100 +1.62% → 20,884.41
러셀2000 +1.09% → 2,163.07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053% → 3.9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66% → 4.203%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7.289 → 107.564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887.8 → 2,867.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0.13 → 69.9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864 → 3.8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30 – 미국 - 1월 개인소비 ★★ -0.2% ▼ (예상: 0.2% 이전: 0.7%→0.8%)
22:30 – 미국 – 1월 PCE가격지수 ★★★ 0.325% = (예상: 0.3% 이전: 0.3%)
22:30 – 미국 – 1월 근원 PCE가격지수 ★★★ 0.285% = (예상: 0.3% 이전: 0.2%)
22:30 – 미국 – 1월 도매재고 ★ 0.7% ▲ (예상: 0.1% 이전: -0.5%)
23:45 – 미국 - 2월 시카고연은 PMI ★★ 45.5 ▲ (예상: 40.8 이전: 39.5)
00:15 – 연준 – 굴스비 총재 (비둘기/투표권 O)
01:00 – 미국 –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03:00 – 미국 - 미국·우크라이나 공동 기자회견
03: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93 (이전: 592)
--------------------------------------------------------------------------------------------------------------------------
【25년 03월 03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3:45 - 미국 - 2월 S&P글로벌 제조업 PM ★★★
00:00 - 미국 - 2월 ISM 제조업 PMI ★★★
연설
02:25 - 연준 - 무살렘 총재 (매파/투표권 O)
--------------------------------------------------------------------------------------------------------------------------
2월 마지막 거래일, 시장은 지정학적 불안과 백악관 설전으로 인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결국 상승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 초반, 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인 인플레이션 지표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회담이 격렬한 논쟁으로 번지면서 미-우크라이나 핵심 광물 협정 체결 계획이 취소되었고, 이에 증시는 즉각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러나 장 마감 직전, 증시는 급격한 반등을 보였습니다.
CNBC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지수 리밸런싱 및 기술적 매수세 유입을 지목했습니다.
UBS 글로벌의 데이비드 레프코위츠는
'강세장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올해는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밀러 타박의 맷 말리는
'백악관에서 너무나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어 투자자들이 단기 전망에 대해 큰 확신을 갖기 어렵다'
EP 웰스 어드바이저의 아담 필립스는
'불안정한 시장이다. 시장의 움직임을 보면 불안감이 역력하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1.6% 상승했으며, 10년물 국채 금리는 5bp 하락한 4.21%를 기록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멕시코가 중국에 대해 미국이 부과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제안했으며, 캐나다도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며칠 내에 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잠재적 경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멕시코 정부가 내놓은 매우 흥미로운 제안 중 하나는 중국에 대해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 수준을 맞추는 방안이다'
라고 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이 과열되지 않았다는 데이터를 확인한 후 안도감을 느꼈습니다.
투자자들은 소비 지출 감소라는 우려스러운 지표보다 연준의 정책 완화 가능성에 더 주목했습니다.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하며 2021년 초 이후 최저 연간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소비 지출은 0.5% 감소해, 거의 4년 만에 가장 큰 월간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브레이브 이글 웰스 매니지먼트의 로버트 루지에렐로는
'추가 금리 인하는 여전히 몇 달이 더 걸릴 가능성이 높지만, 이번 보고서는 2025년에 한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게 해준다'
트레이드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은
'개인 소비 지출의 감소는 이전에 발표된 소매판매 둔화와 일치하며, 경제가 2025년을 약한 기반에서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애틀랜타 연은의 GDPNow는 금요일 발표된 지표 이후 경기 위축 가능성을 예고했습니다.
연율 환산 기준으로 GDP가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2.3% 성장으로 전망됐던 것에 비해 상당히 하향 조정된 수치입니다.
다만 아직 분기 초반이고, GDPNow 추정치는 더 많은 월별 데이터가 나오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5월에 스카이프를 팀즈로 대체 예정
로켓랩(RKLB), 실적발표 (전망 하회)
아마존(AMZN), 초저가 쇼핑앱 'Haul'을 전 세계로 확장 계획중 (카더라)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1.59% → 5,954.50
다우 +1.39% → 43,840.91
나스닥100 +1.62% → 20,884.41
러셀2000 +1.09% → 2,163.07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053% → 3.9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66% → 4.203%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7.289 → 107.564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887.8 → 2,867.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0.13 → 69.9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864 → 3.8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30 – 미국 - 1월 개인소비 ★★ -0.2% ▼ (예상: 0.2% 이전: 0.7%→0.8%)
22:30 – 미국 – 1월 PCE가격지수 ★★★ 0.325% = (예상: 0.3% 이전: 0.3%)
22:30 – 미국 – 1월 근원 PCE가격지수 ★★★ 0.285% = (예상: 0.3% 이전: 0.2%)
22:30 – 미국 – 1월 도매재고 ★ 0.7% ▲ (예상: 0.1% 이전: -0.5%)
23:45 – 미국 - 2월 시카고연은 PMI ★★ 45.5 ▲ (예상: 40.8 이전: 39.5)
00:15 – 연준 – 굴스비 총재 (비둘기/투표권 O)
01:00 – 미국 –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03:00 – 미국 - 미국·우크라이나 공동 기자회견
03: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93 (이전: 592)
--------------------------------------------------------------------------------------------------------------------------
【25년 03월 03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3:45 - 미국 - 2월 S&P글로벌 제조업 PM ★★★
00:00 - 미국 - 2월 ISM 제조업 PMI ★★★
연설
02:25 - 연준 - 무살렘 총재 (매파/투표권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