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3월 14일 (금)】
해선정보
0
03.17 10:02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전날 조정 구간에 진입했던 증시는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CNBC는 백악관의 추가 관세 발표가 없었던 점이 시장의 불안감을 진정시키며 증시 반등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공화당의 임시예산안 처리를 막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금요일에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해 2년 만에 최저 수준인 57.9로 하락했고, 향후 1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9%로 급등했습니다.
이는 지난 3주간 시장 하락을 야기한 관세 관련 우려가 소비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금요일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S&P 500 지수는 8월 이후 가장 긴 4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기술 대형주들이 상승을 주도했으며, 테슬라는 모델 Y의 저가 버전을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라는 보도 이후 3.9% 급등했습니다.
엔비디아는 다음 주 열리는 엔비디아 GTC 행사에서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을 앞두고 5.3%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5bp 상승한 4.31%를 기록했습니다.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없는 날은 시장에 좋은 날이다. 또한 정부 폐쇄가 없을 것이라는 안도감에 시장이 반등하고 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는
'이번 시장의 큰 폭 상승을 이끈 근본적인 촉매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사상 최고치 대비 10% 하락하여 과매도 상태에 이르렀고, 이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도 반등하기 좋은 여건을 제공한다'
제니 몽고메리 스콧의 댄 원트롭스키는
'과매도 상태에서 또 한 번의 반등 시도가 포착되고 있다'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은
'조정은 순간적으로 불안감을 주지만, 이는 특이한 일이 아니며 과열된 시장의 압력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2.13% → 5,638.94
다우 +1.65% → 41,488.19
나스닥100 +2.49% → 19,704.63
러셀2000 +2.53% → 2,044.10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57% → 4.02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70% → 4.3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3.829 → 103.71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001.30 → 2,99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6.76 → 67.19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4.111 → 4.08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57.9 ▼ (예상: 63.0 이전: 64.7)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4.9% ▲ (예상: 4.3% 이전: 4.3%)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5-10년 기대인플레이션 ★★ 3.9% ▲ (예상: 3.4% 이전: 3.5%)
01: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92 (이전: 592)
04: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무부 연설’ (미국 내 범죄 문제)
--------------------------------------------------------------------------------------------------------------------------
【25년 03월 17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3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21:30 - 미국 - 2월 소매판매 ★★★
23:00 - 미국 - 1월 기업 재고 ★★
--------------------------------------------------------------------------------------------------------------------------
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전날 조정 구간에 진입했던 증시는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CNBC는 백악관의 추가 관세 발표가 없었던 점이 시장의 불안감을 진정시키며 증시 반등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공화당의 임시예산안 처리를 막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금요일에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해 2년 만에 최저 수준인 57.9로 하락했고, 향후 1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9%로 급등했습니다.
이는 지난 3주간 시장 하락을 야기한 관세 관련 우려가 소비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금요일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S&P 500 지수는 8월 이후 가장 긴 4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기술 대형주들이 상승을 주도했으며, 테슬라는 모델 Y의 저가 버전을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라는 보도 이후 3.9% 급등했습니다.
엔비디아는 다음 주 열리는 엔비디아 GTC 행사에서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을 앞두고 5.3%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5bp 상승한 4.31%를 기록했습니다.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없는 날은 시장에 좋은 날이다. 또한 정부 폐쇄가 없을 것이라는 안도감에 시장이 반등하고 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는
'이번 시장의 큰 폭 상승을 이끈 근본적인 촉매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사상 최고치 대비 10% 하락하여 과매도 상태에 이르렀고, 이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도 반등하기 좋은 여건을 제공한다'
제니 몽고메리 스콧의 댄 원트롭스키는
'과매도 상태에서 또 한 번의 반등 시도가 포착되고 있다'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은
'조정은 순간적으로 불안감을 주지만, 이는 특이한 일이 아니며 과열된 시장의 압력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2.13% → 5,638.94
다우 +1.65% → 41,488.19
나스닥100 +2.49% → 19,704.63
러셀2000 +2.53% → 2,044.10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57% → 4.02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70% → 4.320%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3.829 → 103.71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001.30 → 2,99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6.76 → 67.19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4.111 → 4.08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57.9 ▼ (예상: 63.0 이전: 64.7)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 4.9% ▲ (예상: 4.3% 이전: 4.3%)
23:00 – 미국 – 3월 미시간대 5-10년 기대인플레이션 ★★ 3.9% ▲ (예상: 3.4% 이전: 3.5%)
01: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02:00 –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592 (이전: 592)
04: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법무부 연설’ (미국 내 범죄 문제)
--------------------------------------------------------------------------------------------------------------------------
【25년 03월 17일 (월)|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3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21:30 - 미국 - 2월 소매판매 ★★★
23:00 - 미국 - 1월 기업 재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