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3월 31일 (월)】
해선정보
0
04.01 09:29
금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며칠 앞두고 전 세계 시장은 다시금 변동성에 휩싸였으며, 불안정한 분기의 마지막 구간에서 증시는 손실을 만회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요일에 수요일 발표 예정인 관세가 모든 국가를 포함할 것이라고 밝힌 후, 글로벌 주식은 하락하고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미국 국채는 상승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 문제에서 더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장중 1.7%까지 하락했으나 결국 회복하며 0.6% 상승 마감했지만,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 3개월 동안 채권 가격은 상승하고 증시는 하락하는 이례적인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금일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상호 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대변인은 이 발표가 “국가별” 관세를 중심으로 할 것이라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특정 분야에 대한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E*Trade 크리스 라킨은
'관세가 당분간 시장 논의를 계속 주도할 가능성이 높으며, 예상보다 관세가 강할지 약할지에 따라 시장의 단기적 추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는
'우리는 여전히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과, 앞으로 어떤 조치가 있을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거래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6% 상승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핵심 백신 담당자가 강제 사임했다는 소식에 백신 관련 주들은 급락했습니다.
테슬라는 수요일 1분기 인도량 발표를 앞두고 스티펠(Stifel)이 테슬라의 인도량 전망을 하향 조정한 영향으로 하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3bp 하락한 4.22%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되살아났지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 안에 미국이 실제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보진 않습니다.
다만 경제 위축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견도 있으며,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가속이 동시에 일어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시나리오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뉴욕 연은에 윌리엄스 총재는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세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코스틴은 S&P 500 목표치를 기존 6,200에서 5,700으로 하향했습니다.
데이비드 코스틴은 만약 성장 전망과 투자자 신뢰가 더욱 악화한다면, 밸류에이션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시장은 연준의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경제적 스트레스의 신호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금요일에 발표될 3월 고용보고서는 주간 일정 가운데 주요 지표로 꼽히며, 민간 고용 지표와 구인 건수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
[미국 증시]
S&P500 +0.55% → 5,611.85
다우 +1.00% → 42,001.76
나스닥100 -0.02% → 19,278.45
러셀2000 -0.56% → 2,011.91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12% → 3.8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53% → 4.21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3.965 → 104.15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117.9 → 3,130.9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9.04 → 71.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950 → 4.12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45 - 미국 - 3월 시카고연은 PMI ★★ 47.6 ▲ (예상: 45.0 이전: 45.5)
23:30 – 미국 – 3월 댈러스연은 제조업지수 ★ -16.3 ▼ (예상: -5.0 이전: -8.3)
02: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예정
06: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예정
--------------------------------------------------------------------------------------------------------------------------
【25년 04월 01일 (화)|주요 일정】
경제지표
10:45 - 중국 - 3월 차이신 제조업 PMI ★★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22:45 - 미국 -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23:00 - 미국 - 2월 건설지출 ★★
23:00 - 미국 - 2월 JOLTS 구인인원 ★★★
23:00 - 미국 - 3월 ISM 제조업 PMI ★★★
연설
22:00 - 연준 - 바킨 총재 (중립/투표권 X)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며칠 앞두고 전 세계 시장은 다시금 변동성에 휩싸였으며, 불안정한 분기의 마지막 구간에서 증시는 손실을 만회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요일에 수요일 발표 예정인 관세가 모든 국가를 포함할 것이라고 밝힌 후, 글로벌 주식은 하락하고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미국 국채는 상승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 문제에서 더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장중 1.7%까지 하락했으나 결국 회복하며 0.6% 상승 마감했지만,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 3개월 동안 채권 가격은 상승하고 증시는 하락하는 이례적인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금일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상호 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대변인은 이 발표가 “국가별” 관세를 중심으로 할 것이라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특정 분야에 대한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E*Trade 크리스 라킨은
'관세가 당분간 시장 논의를 계속 주도할 가능성이 높으며, 예상보다 관세가 강할지 약할지에 따라 시장의 단기적 추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는
'우리는 여전히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과, 앞으로 어떤 조치가 있을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거래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6% 상승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핵심 백신 담당자가 강제 사임했다는 소식에 백신 관련 주들은 급락했습니다.
테슬라는 수요일 1분기 인도량 발표를 앞두고 스티펠(Stifel)이 테슬라의 인도량 전망을 하향 조정한 영향으로 하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3bp 하락한 4.22%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되살아났지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 안에 미국이 실제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보진 않습니다.
다만 경제 위축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견도 있으며,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가속이 동시에 일어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시나리오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뉴욕 연은에 윌리엄스 총재는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세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코스틴은 S&P 500 목표치를 기존 6,200에서 5,700으로 하향했습니다.
데이비드 코스틴은 만약 성장 전망과 투자자 신뢰가 더욱 악화한다면, 밸류에이션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시장은 연준의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경제적 스트레스의 신호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금요일에 발표될 3월 고용보고서는 주간 일정 가운데 주요 지표로 꼽히며, 민간 고용 지표와 구인 건수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
[미국 증시]
S&P500 +0.55% → 5,611.85
다우 +1.00% → 42,001.76
나스닥100 -0.02% → 19,278.45
러셀2000 -0.56% → 2,011.91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12% → 3.8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53% → 4.21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3.965 → 104.15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117.9 → 3,130.9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9.04 → 71.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950 → 4.12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2:45 - 미국 - 3월 시카고연은 PMI ★★ 47.6 ▲ (예상: 45.0 이전: 45.5)
23:30 – 미국 – 3월 댈러스연은 제조업지수 ★ -16.3 ▼ (예상: -5.0 이전: -8.3)
02: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예정
06:3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예정
--------------------------------------------------------------------------------------------------------------------------
【25년 04월 01일 (화)|주요 일정】
경제지표
10:45 - 중국 - 3월 차이신 제조업 PMI ★★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22:45 - 미국 -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23:00 - 미국 - 2월 건설지출 ★★
23:00 - 미국 - 2월 JOLTS 구인인원 ★★★
23:00 - 미국 - 3월 ISM 제조업 PMI ★★★
연설
22:00 - 연준 - 바킨 총재 (중립/투표권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