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4월 14일 (월)】
해선정보
0
04.15 11:50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이 잠시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서 증시와 채권이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일시 유예 발표하고, 애플 팀 쿡 CEO와 통화했다고 밝히자, 애플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금요일(현지시간) 늦게 발표된 미국 관세청의 새 지침에 따라 스마트폰, 컴퓨터 등 일부 전자제품과 더불어 반도체와 같은 부품 및 기기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 도입한 ‘상호관세’에서 면제된다는 소식에 환호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면제의 의미를 축소해서 설명했습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이러한 면제 전자제품도 머지않아 별도의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여전히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 대상이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로 인해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페퍼스톤의 콰사르 엘리준디아는
"명확성이 부족하고, 곧 발표될 섹터별 관세 가능성으로 인해 시장 상승세가 제한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마감후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와 의약품 수입에 대한 무역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사는 상무부가 주도하며,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해당 수입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S&P500 지수는 약 0.8%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2bp 하락한 4.364%를 기록했습니다.
국채 금리는 관세 유예 소식이 투자심리를 개선시켜 미 국채에 대한 매수세를 촉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일시적으로 면제해 미국 현지 생산 설비를 갖출 시간을 더 줄 수 있다는 발언에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협상이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무역 전쟁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전략이 신중하게 수립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에 따라 무역 정책이 좌우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E*Trade의 크리스 라킨은
"단기적으로 반등세가 지속되려면 투자자들은 백악관이 관세에 대해 계속 유연성을 보이는 신호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고, 일일 변동성은 계속 높을 수 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는
“이번 주가 시작되면서 또다시 트레이더들은 ‘관세 부과, 관세 철회’라는 끝없는 이야기에 대한 최신 소식을 얻기 위해 소셜 미디어 피드와 뉴스 속보에 집중할 것이다"
"현 행정부가 잘하는 것 중 하나는 시장 참여자들을 긴장 상태로 몰아넣는 것이다"
리톨츠 웰스 매니지먼트의 캘리 콕스는
"지난주의 시장 움직임은 극도로 거칠었기에 투매에 근접해 있을지도 모른다."
"기대치가 매우 낮아진 만큼 사소한 호재도 큰 안도를 줄 수 있는 국면에 들어섰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다만 그 어느 경우든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월러 이사는
"이번 관세 정책은 수십 년 만에 미국 경제에 영향을 준 가장 큰 충격 중 하나이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면 2025년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매우 적극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장 종료 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외국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대량 매도하고 있다는 추측을 일축했습니다.
그는 최근 10년물과 30년물 국채 경매에서 오히려 해외 수요가 증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최근 채권 시장 하락이 주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국가들이 하락의 배후에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재무부는 필요한 경우 시장 혼란에 대응할 수 있는 광범위한 도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국채 바이백 프로그램도 포함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비상 조치가 필요한 시점과는 거리가 멀다”고 언급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9% → 5,405.97
다우 +0.78% → 40,524.79
나스닥100 +0.57% → 18,796.02
러셀2000 +1.11% → 1,880.88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75% → 3.85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497% → 4.384%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801 → 99.68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255.50 → 3,195.0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1.48 → 61.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325 → 3.3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00:00 – 미국 – 3월 뉴욕연은 기대인플레이션 ★ 3.58% ▲ (예상: 3.3% 이전: 3.13%)
00: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정상회담’ (엘살바도르)
02:00 – 연준 – 월러 이사 (중립/투표권 O)
04: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대학미식축구 행사’ 참석
07:00 - 연준 - 하커 총재 (중립/투표권 X)
--------------------------------------------------------------------------------------------------------------------------
【25년 04월 15일 (화)|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4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21:30 - 미국 - 3월 수입물가지수 ★★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연설
08:40 - 연준 - 보스틱 총재 (중립/투표권 X)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이 잠시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서 증시와 채권이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일시 유예 발표하고, 애플 팀 쿡 CEO와 통화했다고 밝히자, 애플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금요일(현지시간) 늦게 발표된 미국 관세청의 새 지침에 따라 스마트폰, 컴퓨터 등 일부 전자제품과 더불어 반도체와 같은 부품 및 기기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 도입한 ‘상호관세’에서 면제된다는 소식에 환호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면제의 의미를 축소해서 설명했습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이러한 면제 전자제품도 머지않아 별도의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여전히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 대상이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로 인해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페퍼스톤의 콰사르 엘리준디아는
"명확성이 부족하고, 곧 발표될 섹터별 관세 가능성으로 인해 시장 상승세가 제한되고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장 마감후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와 의약품 수입에 대한 무역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사는 상무부가 주도하며,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해당 수입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S&P500 지수는 약 0.8%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2bp 하락한 4.364%를 기록했습니다.
국채 금리는 관세 유예 소식이 투자심리를 개선시켜 미 국채에 대한 매수세를 촉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일시적으로 면제해 미국 현지 생산 설비를 갖출 시간을 더 줄 수 있다는 발언에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협상이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무역 전쟁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전략이 신중하게 수립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에 따라 무역 정책이 좌우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E*Trade의 크리스 라킨은
"단기적으로 반등세가 지속되려면 투자자들은 백악관이 관세에 대해 계속 유연성을 보이는 신호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고, 일일 변동성은 계속 높을 수 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는
“이번 주가 시작되면서 또다시 트레이더들은 ‘관세 부과, 관세 철회’라는 끝없는 이야기에 대한 최신 소식을 얻기 위해 소셜 미디어 피드와 뉴스 속보에 집중할 것이다"
"현 행정부가 잘하는 것 중 하나는 시장 참여자들을 긴장 상태로 몰아넣는 것이다"
리톨츠 웰스 매니지먼트의 캘리 콕스는
"지난주의 시장 움직임은 극도로 거칠었기에 투매에 근접해 있을지도 모른다."
"기대치가 매우 낮아진 만큼 사소한 호재도 큰 안도를 줄 수 있는 국면에 들어섰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다만 그 어느 경우든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월러 이사는
"이번 관세 정책은 수십 년 만에 미국 경제에 영향을 준 가장 큰 충격 중 하나이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면 2025년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매우 적극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
장 종료 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외국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대량 매도하고 있다는 추측을 일축했습니다.
그는 최근 10년물과 30년물 국채 경매에서 오히려 해외 수요가 증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최근 채권 시장 하락이 주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국가들이 하락의 배후에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재무부는 필요한 경우 시장 혼란에 대응할 수 있는 광범위한 도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국채 바이백 프로그램도 포함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비상 조치가 필요한 시점과는 거리가 멀다”고 언급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79% → 5,405.97
다우 +0.78% → 40,524.79
나스닥100 +0.57% → 18,796.02
러셀2000 +1.11% → 1,880.88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975% → 3.85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497% → 4.384%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9.801 → 99.68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255.50 → 3,195.0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1.48 → 61.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325 → 3.33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00:00 – 미국 – 3월 뉴욕연은 기대인플레이션 ★ 3.58% ▲ (예상: 3.3% 이전: 3.13%)
00: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정상회담’ (엘살바도르)
02:00 – 연준 – 월러 이사 (중립/투표권 O)
04:00 – 미국 – 트럼프 대통령 ‘대학미식축구 행사’ 참석
07:00 - 연준 - 하커 총재 (중립/투표권 X)
--------------------------------------------------------------------------------------------------------------------------
【25년 04월 15일 (화)|주요 일정】
경제지표
21:30 - 미국 - 4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21:30 - 미국 - 3월 수입물가지수 ★★
21:55 -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연설
08:40 - 연준 - 보스틱 총재 (중립/투표권 X)
--------------------------------------------------------------------------------------------------------------------------